공동체의 의미를 제고하다: 콜로키움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
2024년 12월 5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와 한국사회사학회가 공동 개최한 콜로키움 ‘경계를 넘는...
SPACE > The Latest공예와 건축의 관계성을 질문하다: <공예로 짓는 집>
서울공예박물관이 선보이는 은 문, 바닥, 기둥, 벽, 보, 창문, 지붕이라는 건축 요소를 공예적 관...
SPACE > The Latest지금, 비평의 자리:「건축평단 25: 건축 비평을 말하다」
건축 이론 비평지 「건축평단」이 멈춰선 지 4년만에 복간호(통권25호)를 발간하며 재시동을 알렸다. 이번 호는 비평의 자리를 다시 마련한다는 취지에서, 4인의 비평가가 현재 건축계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건축가와 비평가, 이론가 등 7인을 차례로 인터뷰하는 특집을 '기획'으로 담았다.
SPACE > The Latest보이드를 통한 서울 읽기: <서울의 작은 산>
서울역사박물관이 홍콩대학교 건축학과와 공동으로 〈서울의 작은 산: 보이드를 통해 도시를 읽다〉를 개최 중이다.
SPACE > The Latest대안은 없는가?: ‘미로 연계 포럼: 매너리스트, 분열증, 참조’
지난 10월 현대 한국 건축의 담론 발굴과 기록을 목표로 삼은 잡지 「미로」가 ‘인용과 참조’라는 주제로 창간된 가운데 책의 필자로 참여한 김광수, 서재원, 김효영이 패널로, 최원준이 모더레이터로 참여한 연계 포럼이 11월 12일 정림건축문화재단에서 열렸다.
SPACE > The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