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F 디자인 유형별 프로세스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 Chris Lefteri Design, 2024

   CMF 디자인 유형별 프로세스 가이드 한국디자인진흥원, Chris Lefteri Design, 2024 한국디자인진흥원과 영국의 CMF 컨설팅 기업 Chris Lefteri Design이 협업하여 제작한 본 리포트는기업이 CMF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유형별 프로세스와 실무 적용 방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세가지 유형(CMF 강화, 친환경, 혁신성)별로 단계적인 프로세스를 제시하며,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과 도구를 함께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CMF 디자인을 보다 전략적으로 적용하고, 제..

designdb > 디자인연구

2024 생활소비재산업통계조사 보고서 - 한국디자인진흥원, 산업연구원, 2024

2024년 생활소비재산업통계조사산업연구원, 한국디자인진흥원, 2024  이 연구는 생활소비재산업의 발전방안 수립 및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일관된 기준의 통계를 생산하여국내 생활소비재 기업의 의사결정 및 산업발전 정책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 과거 5년(2019년~2023년)간 진행되어 온 생활소비재산업 실태조사 사업이 중단됨으로 인해생활소비재 기업 대상 실태조사를 통한 현황 파악이 어려워 2024년은 행정통계 기반의 생활소비재산업 15개 대분류*별 통계를 생산함.*15개 대분류: 의류, 신발..

designdb > 생활산업통계

용산형 배리어프리 안전디자인 정착을 위한 방안 연구 보고서 - 용산구의회 더 나은 세상 연구회, 2024

용산구의회 '더 나은 세상 연구회'는 배리어프리 환경과 안전디자인을 정착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연구 결과는 「용산형 배리어프리 안전디자인 정착을 위한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로 정리되었으며, 용산구를 보다 포용적이고 안전한 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정책 제언이 담겨 있다.배리어프리(Barrier-Free) 환경 조성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행복추구권과 평등권,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권리를 실현하는 중요한 과제다. 한국 사회에는 여전히 장애인의 이동과 문화생활을 제한하는 장벽이 많으며, 이..

designdb > 디자인연구

수요자 중심 공공서비스를 위한 사용자경험 평가모델 개발 기초연구 - 성균관대학교, 한국디자인진흥원, 2024

수요자 중심 공공서비스를 위한 사용자경험 평가모델 개발 기초연구성균관대학교 국정평가연구소, 한국디자인진흥원, 2024 이 책은 공공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국민 중심의 공공서비스 혁신을 이루고자 한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민간과 공공부문의 다양한 평가 모델을 비교 분석하며, 사용자 경험의 개념 정의부터 구체적인 평가모델 설계, 전문가 검증, 확산 전략까지 체계적으로 다룬다. 이 연구는 공공서비스 평가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정책 설계와 서비스 개선..

designdb > 디자인연구

미국의 AI안전·신뢰성 정책 추진 현황과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미국의 인공지능(AI) 안전·신뢰성 정책 흐름을 살펴보고, 트럼프 2.0 시대에 AI 기술의 안전·신뢰성 확보하기 위한 정책 흐름이 어떻게 이어질지 예측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부터 트럼프 1기 행정부, 바이든 행정부에 걸쳐 AI 기술을 국가 안보와 직결된 전략 기술로서 인식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추진해왔다. 오바마 행정부에서는 AI가 안보와 글로벌 리더십 확보에 중요한 전략 과제임을 인식하고 안전한 AI 시스템을 보장하기 위한 연구 개발 계획 및 지침을 수립하였고, 트럼프 1기..

SPRi > 연구자료 전체

[GDX REPORT 24-12] AI 에이전트 시대, AI 활용 패러다임 변화

NIA > 정책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