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특례시장, 2년 연속 '한국의 영향력 있는 CEO' 수상
이상일 경기 용인특례시장이 4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2025 한국의 영향력 있는 CEO' 시상식에서 일자리창출경영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지난해 미래혁신경영 부문에 이어 2년 연속 이 상을 받았다. '한국의 영향력 있는 CEO'는 올해로 13회를 맞은 행사
전자신문 > 소재·부품
KISTI, ‘디지털바이오 혁신을 이끄는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이슈브리프 발간
KISTI, ‘디지털바이오 혁신을 이끄는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이슈브리프 발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의 중요성과 발전 방향을 주제로 한 KISTI 이슈브리프 제83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바이오 분야는 인공지능(AI),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연구개발의 불확실성, 오랜 연구기간, 고비용이라는 기존 한계를 극복하며, 전 세계적으로 연구 및 산업의 생산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바이오는 다양한 산업에 파급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소식
방통위·KISA, '2025 코리아 위치기반서비스 스타트업 챌린지' 진행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혁신적인 위치기반서비스(LBS)의 창업과 성장을 지원한다. 방통위와 KISA는 '2025 코리아 위치기반서비스 스타트업 챌린지' 공모전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코리아 위치기반서비스 스타트업 챌린지' 공모전은 이
전자신문 > 통신·미디어·게임
“韓 문화원 없는 곳까지”…'찾아가는 K-컬처' 확대
문화체육관광부는 재외한국문화원이 없는 전 세계 52개 도시 및 국가를 대상으로 현지 지방정부, 대학(한국어학과), 세종학당, 재외공관 등과 긴밀히 협력해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을 연중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문체부는 한국문화원이 없는 지역에서도
전자신문 > 통신·미디어·게임
콘진원, '콘텐츠 도쿄 2025' 참여…아시아 진출 전략 강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K-콘텐츠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지원 프로그램 '론치패드·콘텐츠 도쿄 2025'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4일 밝혔다. 7월 2일부터 4일까지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콘텐츠 도쿄 2025' 전시회에 참여해 현지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론
전자신문 > 통신·미디어·게임
바디프랜드, B2G 매출 전년比 22.3% 증가
바디프랜드는 올해 상반기 공공기관, 경찰서·소방서, 경로당 등 B2G(기업정부 간 거래) 실적이 전년대비 22.3%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각 공급처별 매출액 비중은 공공기관(38%), 경로당(32%), 경찰서·소방서(3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찰서·소방서 매
전자신문 > 소재·부품
K조선, 6월 글로벌 수주 점유율 41%…글로벌 발주 81% 감소
4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의 집계에 따르면 6월 전세계 선박 수주량은 256만CGT(84척)으로, 전월 대비 44% 증가,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81%가 감소하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105만CGT(18척·41%)를, 중국은 137만CGT(50척·
전자신문 > 소재·부품
포스코, 유럽 최대 키친 제조사와 손잡고 '프리미엄 스테인리스 싱크' 제품 출시
포스코가 유럽 최대 시스템 키친 제조사인 프랑케와 손잡고 고객 맞춤형 '프리미엄 스테인리스 싱크' 제품을 선보였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제품은 포스코가 글로벌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탄소 규제에 발맞춰 개발한 소재로 제작됐다. 포스코는
전자신문 > 소재·부품
역대급 보상책 내놓은 SKT “매출 목표 4.5% 하향, 신뢰 위해 실적 저하 감내”
SK텔레콤이 유심 해킹 사태 후속 대책으로 5000억원대 고객 보상안과 7000억원 규모 정보보호 투자 계획을 내놨다. 위약금을 면제하라는 정부 판단도 수용했다. 이에 따라 올해 매출액 목표치를 4.5% 하향하고 영업이익도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영상 SK텔레콤 대
전자신문 > 통신·미디어·게임
SKT “IPTV·인터넷 등 결합상품, 위약금 면제 아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는 유심 해킹 사태 관련 위약금 면제는 모바일(휴대전화)를 대상으로만 이뤄진다고 4일 밝혔다. 유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 T타워에서 열린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 브리핑에서 “위약금 면제는 모바일에 관련한 위약금에 한정된다”며
전자신문 > 통신·미디어·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