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댓글에 세이프봇 적용후 욕설 비율 첫 반등
카카오의 인공지능(AI) 기반 댓글 필터링 기능인 ‘세이프봇’이 포털 다음(DAUM) 댓글에 적용된 이후 욕설·비속어 댓글의 비율이 처음으로 반등했다. 16일 카카오에 따르면 세이프봇 기능을 적용하기 전인 2020년 하반기에 음표로 치환된 욕설과 비속어 댓글 비중(100%)은 2021년과 지난해에 각각 46%, 37%로 2년 연속 하락했다가 올해 상반기 48%로 반등했다. 2020년 12월 다음의 댓글에 처음 적용된 세이프봇은 욕설과 비속어를 포함하거나 게시물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누리호 3차 발사 성공, 외신들은 어떻게 평가할까?
독자 개발 누리호의 3차 발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프랑스, 미국 등 외신들은 누리호의 두 번째 발사 성공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지 알아보자.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동대문에서 그네 타면 펼쳐지는 스위스 마터호른
고글을 쓰고 그네에 오르면 어느새 스위스 마터호른에 도착한다. 여행을 가도 삼대가 덕을 쌓아야 볼 수 있다는 광경이지만, 동대문 한가운데서도 호수에 티끌 하나 없이 투영된 마터호른과 만날 수 있다. 한국과 스위스의 수교 60주년 기념 혁신주간을 맞아 다음 달 11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갤러리문에서 열리는 특별전 '차원 여행'을 통해서다.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일론 머스크·유발 하라리가 AI 개발을 ‘일시 정지’하자고 주장한 까닭
한국과학창의재단은 28일 ‘제13회 과학문화 혁신포럼’을 개최하고 ChatGPT 등 AI 기술의 발전이 과학소통에 미칠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과학문화 혁신 포럼은 과학문화 생태계 구축 및 과학과 사회의 소통 활성화를 위해 재단이 2020년부터 진행해온 행사다.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AI 교육, Chat-GPT 이후를 준비해야…
생성형 AI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교육계는 이것을 어떤 방법으로 수용하느냐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우리 사회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과도한 규제와 경계로 인해 새로운 AI기술, AI플랫폼이 등장할 때마다 ‘위기인가, 기회인가’ 같은 양시·양비론의 굴레에서 한참 헤매게 된다.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개념을 넓혀 AI 플랫폼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양자컴퓨터 실현되려면 세계 공동의 노력 필요”
사이언스타임즈가 만난 양자 분야 대표 석학인 피터 나이트 명예교수와 김명식 교수는 양자 컴퓨터 실현을 위한 제1과제는 국민 공감이라는 데 입을 모았다.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챗GPT·AI 열풍으로 구글·MS 등 빅테크 영향력 확대 전망”
최근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의 세계적 열풍으로 인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의 영향력이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최근 MS와 구글이 AI 챗봇 기반 서비스를 잇따라 발표하자 텍스트·이미지 등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하는 이런 기술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디지털 권리’ 본격 논의 시동, 디지털 시대로의 완전한 이동 될까?
‘디지털 권리’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디지털 사회로의 본격적인 이행이 시작되는 분위기다. EU 집행위원회는 지난해 초부터 ‘디지털 DNA(the European Declaration on Digital Rights and Principles)’를 준비했다. 이 선언은 디지털 전환이 사람들의 삶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측면에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전제로 총 6개 장을 구성했다.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소프트웨어 산업, ‘공유’와 ‘협력’의 시대로 접어들어
2023년의 소프트웨어 산업의 키워드는 ‘공유’와 ‘협력’이 될 전망이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주관한 ‘2023 SW산업 전망 컨퍼런스’에 참석한 산·학·연 종사자들은 글로벌 위기와 디지털 패권 경쟁의 시대에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내년도 예측과 전망을 내놓았다.
사이언스타임즈 > 정보통신ㆍ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