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

요약 • 가구 인터넷 접속률 및 접속 가구 수국내 가구 99.97%가 인터넷 접속 가능2024년 7월 현재 우리나라 전체 가구(22,267천 가구) 중 가구 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가구의 비율은 99.97%로 나타나 전년과 동일하였으며, 인터넷 이용 가능 가구 수는 약 22,261천 가구로 전년 대비 약 373천 가구 증가함• 가구 인터넷 접속방법인터넷 접속 시 '무선랜'(99.9%), '모바일인터넷 (99.9%), '유선인터넷'(82.5%) 이용인터넷 접속 가구 중 99.9%가 '무선랜'과 '모바일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며, '유선인터넷'은 82.5%, '이동형 무선인터넷 공유기'는 8.9%로 ..

IITP > 정책/통계자료

2025년 3월 ICT기업경기조사 보고서

요약 o 3월 ICT 분야의 종합경기 실적BSI는 96으로 전월 대비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월 전망BSI는 101로 3월 대비 개선될 것으로전망됨 ※ 실적BSI는 전월을 기준(100)으로, 당월 기업경기에 대한 업체들의 응답을 수치화한 것이며, 100인 경우는 전월과 동일, 100 초과인 경우는 전월 대비 개선, 100 미만인 경우는 전월 대비 악화를 의미함 ※ 전망BSI는 당월을 기준(100)으로, 익월 기업경기 전망에 대한 업체들의 응답을 수치화한 것이며, 100인 경우는 당월과 동일, 100 초과인 경우는 당월 대비 개선, 100 미만인 경우는 당월 대비 악화를..

IITP > 정책/통계자료

특허지표를 활용한 주요국 AI 기술 경쟁력 분석

인공지능(AI)이 직·간접적으로 국가 생산성을 높이고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면서, 각국은 AI 기술을 미래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하여 대대적인 AI R&D 투자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추진 등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글로벌 AI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AI 시장 규모가 큰 미국(USPTO), 중국(CNIPA), 유럽(EPO) 등 3개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정보를 수집하여 특허지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AI 관련 특허정보 수집 방법에 따라 검색식을 ..

SPRi > 연구자료 전체

특허지표를 활용한 주요국 AI 기술 경쟁력 분석

인공지능(AI)이 직·간접적으로 국가 생산성을 높이고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면서, 각국은 AI 기술을 미래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하여 대대적인 AI R&D 투자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추진 등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글로벌 AI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AI 시장 규모가 큰 미국(USPTO), 중국(CNIPA), 유럽(EPO) 등 3개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정보를 수집하여 특허지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AI 관련 특허정보 수집 방법에 따라 검색식을 ..

SPRi > 이슈리포트

A Policymaker’s Guide to Digital AntitrustRegulation

Rather than adopt the European Union’s model for regulating competition, policymakers considering how to govern digital markets should carefully evaluate whether digital antitrust regulation is justified and consider whether concerns about anticompetitive behavior can be addressed with less intrusive and more cost-effective tools.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

2025년 1월 ICT 주요품목동향조사 보고서

요약 2025년 1월 생산액(매출액)은 44.1조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9% 증가, 전월대비 9.8% 감소● 정보통신방송기기 생산액은 전년동월대비 4.5% 증가, 전월대비 13.2% 감소● 정보통신방송서비스 매출액은 전년동월대비 1.9% 증가, 전월대비 2.7% 감소● 소프트웨어 매출액은 전년동월대비 3.8% 증가, 전월대비 2.5 % 감소 목록 일러두기조사개요제1장 ICT주요품목동향제2장 중소기업 월별 동향제3장 ICT기업경기조사(BSI)부록 1 ICT주요품목동향조사 통계표부록 2 ICT통합분류체계부록 3 ICT주요품목동향조사 조사표부록 4 ICT기업경기조사(BSI) 조..

IITP > 정책/통계자료

ICT Brief 2025-11호

① 주요 이슈ㅇ GDC 2025, AI·XR·클라우드 기술 융합으로 게임 산업 생태계 혁신‒ 세계 최대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GDC 2025'에서 구글, MS, NVIDIA, 메타 등 글로벌 테크 기업들이 경량 AI 모델, 혼합현실 개발 도구, 실시간 감정 표현 엔진, 클라우드 게이밍 등 첨단 기술을 발표하며 ICT 기술 혁신의 테스트베드 역할 수행‒ 디바이스-클라우드 협업, 온디바이스 AI와 XR 기술 통합은 중앙화 인프라에서 분산형 지능 체계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텍스트·이미지에서 공간 기반 인터랙션으로 변화하는 변곡점을 의미, 게임 산업 기술 혁신은 제..

IITP > ICT Brief

2024 가상증강현실(VR·AR)산업 실태조사

요약 01 산업분야별 기업체 수VR·AR사업 참여 분야는 ‘콘텐츠 제작 및 공급업’ 분야가 가장 많음ㅇ VR·AR 산업분류별 참여 기업체 수는 대분류 기준 ‘콘텐츠 제작 및 공급업’이 642개로 가장 많음 - 다음으로 ‘전용 SW 개발 및 공급업’(188개), ‘전용기기 장치물 및 부분품 제조업’(78개) 등의 순임 세부분야 기준으로는 ‘교육’ 분야가 227개로 가장 많음 - 다음으로 ‘콘텐츠 제작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175개), ‘공연, 전시’(136개) 등의 순임02 VR·AR사업 매출액VR·AR사업 매출액은 8,248억 원, 활용기술별로는 VR 기술 활..

IITP > 정책/통계자료

2024년 웹 접근성 실태조사

요약 □ 전체 종합 결과○ 2023년 전체 평균 점수가 65.8점이었으나, 2024년 전체 평균 점수는 0.9점 상승한 66.7점으로 조사됨□ 업종별 결과○ 업종별 평균 점수- 업종별 웹 접근성 조사 결과는 교육 서비스업이 76.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73.9점), 금융 및 보험업(70.8점), 정보통신업 (69.5점) 등의 순으로 나타남□ 전년도 결과 비교○ 산업분류별 조사 결과 총 8개 산업분류 중에서 5개 산업분류가 2023년 대비 상승하였고, 하락한 산업분류는 3개 분야로 나타남- 정보통신업(3.5점), 부동산업(23점..

IITP > 정책/통계자료

2024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요약 1) 종합 결과ㅇ 2024년 4대 정보취약 계층(장애인ㆍ저소득층ㆍ농어민ㆍ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77.5%로 2023년 76.9% 대비 0.6%p 상승※ 각 수준은 일반국민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할 때 일반국민 대비 4대 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을 의미ㅇ 부문별 결과를 살펴보면, 디지털정보화 접근 수준은 96.5%, 디지털정보화 활용 80.0%, 디지털정보화 역량 65.6% 순이며, 수준 상승폭은 활용(1.0%p↑), 역량(0.5%p↑) 순이며 접근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남ㅇ 계층별로는 고령층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71.4%로 가장 낮으며, 저..

IITP > 정책/통계자료

2024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요약 1. 연도별 스마트폰 과의존 현황우리나라 2024년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은 22.9%로 작년대비 0.2%p 감소ㅇ 과의존위험군 중 고위험군은 4.2%로 3년 연속 동일하였으며, 잠재적 위험군은 18.7%로 작년대비 0.2%p 감소함ㅇ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비율이 2020년 3.3%p 급증하였으며 이후 2021년 최고치(24.2%)를 기록한 후, 2022년 0.6%p, 2023년 0.5%p, 2024년 0.2%p씩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ㅇ 대상별 과의존위험군 비율은 청소년(42.6%), 유아동(25.9%), 성인(22.4%), 60대(11.9%) 순ㅇ 유아동, 청소년은 전년 대비 각각 0.9%p, 2.5%p 상..

IITP > 정책/통계자료

주간기술동향 2169호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5-03-26

기획시리즈- 양자컴퓨팅의 발전이 암호화폐 산업에 미칠 영향ICT 신기술- MPEG-I 장면 기반 미디어 교환 표준화 동향

IITP > 주간기술동향

2023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KISTEP 브리프]

요약 ㅇ 최근 10년(2014년∼2023년) 동안 정부 R&D 예산 중 총 4조 2,116억 원이 신약개발 연구*에 투자(연간 평균 4,212억 원)∙ 7개 부처** 중 복지부(1조 5,348억 원), 과기부(1조 5,214억 원), 산업부(2,892억 원)의 투자는 총 3조 3,454억 원(전체 투자의 79.4%)으로 3개 부처가 신약개발 투자를 주도* 기초 및 기전 연구 제외** 과기부, 복지부, 산림청, 식약처, 산업부, 질병청, 해수부ㅇ 2023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는 5,895억 원으로, 신약개발 단계별로는 인프라, 의약품 종류별로는 신약, 질환별로는 감염증에 가장 많이 투자∙ 단계별로 인프라 2,0..

IITP > 정책/통계자료

Toward Globalization 2.0: A New Trade Policy Framework for Advanced-Industry Leadership and National Power

Globalization 1.0 has failed, but protectionist autarky cannot be its replacement. Instead, it is past time to craft a new kind of globalization that advances U.S. interests in key industries and prevents China from becoming the dominant techno-economic power.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

[KEIT 기술통계리포트 2025-3월 4주차] 뉴로모픽 컴퓨팅

요약 - 뉴로모픽 컴퓨팅은 인간의 신경망(neural network)과 뇌의 작동 방식을 모방하여 설계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의미하며, 기존의 폰 노이만 구조와 달리 병렬 처리와 낮은 전력 소비를 통해 AI 및 신경망 연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기존 AI 및 반도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나 멤리스터, SNN 최적화,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표준화 등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향후 로봇, IoT, 자율주행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전망임 목록

IITP > 정책/통계자료

ICT Brief 2025-10호

① 주요 이슈ㅇ GTC 2025, AI 시대를 위한 기술 혁신의 장‒ 엔비디아 GTC 2025, 'AI 시대를 위한 기술 혁신'을 주제로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개최되어 글로벌 AI 발전의 이정표 역할과 차세대 컴퓨팅 기술의 혁신적 발표를 통한 미래 청사진 제시‒ 2025년 GTC에서는 성능이 더욱 강화된 '블랙웰 울트라'와 2026년 출시 예정인 차세대 아키텍처 '루빈'에 관한 첫 정보가 공개되어 글로벌 기술 기업들과 개발자들의 관심 집중ㅇ 메타, AI 학습용 반도체 도입과 빅테크의 자급화 전략‒ 메타, 자체 개발한 RISC-V 기반 AI 학습용 반도체 테스트 단계 ..

IITP > ICT Brief

주간기술동향 2168호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5-03-19

기획시리즈- 차세대 6G 네트워크를 위한 위성 간 통신 기술 동향ICT 신기술-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무기표적할당문제 연구 동향

IITP > 주간기술동향

[KEIT 기술통계리포트 2025-3월 3주차] NPU

요약 - NPU(Neural Processing Units, 신경망처리장치)는 인공지능(AI) 및 딥러닝 연산을 가속화하도록 설계된 특수 프로세서로서 스마트폰, 엣지 디바이스, 데이터센터,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가속기로 활용됨- 고성능·저전력 NPU 아키텍처 개발, 소프트웨어 및 AI 프레임워크 최적화, 뉴로모픽 컴퓨팅, 광컴퓨팅, 양자컴퓨팅과의 결합 등 차세대 기술 연구, 엣지 AI 최적화,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AI 가속기 개발 등에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NPU의 고성능, 저전력, 범용성 향상이 필요 목록

IITP > 정책/통계자료

The Value of Follow-On Biopharma Innovation for Health Outcomes and Economic Growth

Follow-on biopharmaceutical innovations deliver substantial health and economic benefits by improv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existing therapies, addressing unmet patient needs, expanding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enhancing adherence. Supportive policies are essential to sustain progress and ensure broad access to these medical advanc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

2025년 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요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3월 17일, 2월 한달 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수출은 167.1억 달러로 전년 동월(165.1억 달러) 대비 1.2% 증가했으며, 수입은 109.0억 달러로 전년 동월(103.1억 달러) 대비 5.6% 늘어났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58.1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이는 역대 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전월(△0.4%)의 감소세에서 반등한 것이며 정보통신산업(ICT) 분야 수..

IITP > 정책/통계자료

ICT Brief 2025-09호

① 주요 이슈ㅇ 중국의 오픈소스 기술 생태계 구축과 디지털 주권 확보 전략‒ 중국의 RISC-V 기반 오픈소스 CPU 기술 확산 정책 가이드라인 발표 예고 등 국가 주도 전략적 오픈소스 생태계 구축을 통해 기술 자립화 및 디지털 표준 주도권 확보 움직임 가속화‒ 오픈소스 전략 추진은 '국가 주도 기술 자립화', '미국의 단계적 기술 제재 대응', '서방 기술 로열티 비용 절감'이라는 세 가지 핵심 배경하에 전개‒ GitHub에서 미국 다음으로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국가로 부상하였으며, 화웨이는 2020~2024년 오픈소스 활동량이 605% 증가하..

IITP > ICT Brief

(2025년 1월말 기준)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및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

요약 1. 무선 통신서비스 회선 현황(단위:회선)이동통신 : - 휴대폰 : 56,936,975- 가입자 기반 단말장치 : 4,186,887- 사물지능통신 : 28,268,284 2. 유선 통신서비스 회선 현황(단위:회선)- 초고속인터넷 : 24,762,492- 인터넷전화 : 10,947,931- 시내전화 : 10,280,379 목록 1. 무선 통신서비스 회선 현황1-1 이동통신 회선 현황2. 유선 통신서비스 회선 현황2-1. 초고속인터넷 회선 현황2-2. 인터넷전화 회선 현황2-3. 시내전화 회선 현황

IITP > 정책/통계자료

2023년 기준 콘텐츠산업조사

요약 2023년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는 11만 8,064개로 나타났으며 종사자 수는 총 66만 5,213명, 매출액은 154조 1,785억 원으로 나타났다. 부가가치액은 55조 3,063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부가가치율은 35.9%로 나타났다. 2023년 수출액은 133억 3,941만 달러였으며, 수입액은 8억 9,382만 달러로 나타나 124억 4,559만 달러의 흑자를 보였다.2023년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는 11만 8,064개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으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3.2% 증가했다.산업별 사업체 수를 살펴본 결과, 출판산업 사업체 수가 3만 2,457개로 전체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

IITP > 정책/통계자료

[KEIT 기술통계리포트 2025-3월 2주차] 마찰용접 기술

요약 - 마찰용접(Friction Welding) 기술은 두 개의 부품을 상대적으로 마찰시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접합하는 용접 기술로, 용접 중 용융되지 않고 고체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불순물 혼입이 적고 강도가 우수한 것이 특징이며 자동차, 항공우주, 철도, 에너지, 전자부품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됨- 이종 금속 접합 기술 고도화, 로봇·다축 시스템 도입으로 대형 구조물 및 복잡한 형상 용접 기술 개선, 비파괴 검사 및 AI 기반 품질 제어 시스템 적용, 공정 속도 및 자동화 수준 향상, 모듈형 장비, 저비용 자동화 솔루션..

IITP > 정책/통계자료